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jpa
- 싸피 11기
- 싸피 10기
- 싸피셜
- SSAFYcial
- 프론트엔드
- 코딩테스트 자바
- 싸피11기
- 자바스크립트
- 인프런
- 코드트리
- 백준
- 자료구조
- 싸피 대전캠퍼스
- 리액트
- 개발자
- swea
- 알고리즘 자바
- 알고리즘
- 싸피 기자단
- 싸피10기
- 자바스크립트 자료구조
- 자바 코딩테스트
- ssafy
- 프로그래머스
- 싸피
- 비동기
- 자바 알고리즘
- 싸피 12기
- 코딩테스트
- Today
- Total
목록스택 (2)
병아리의 코딩 일기

https://school.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1290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.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.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,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. programmers.co.kr 알고리즘 강의 중 '스택' 부분을 듣고 실습 예제로 풀어본 문제인데 알고보니 2단계! 1단계 연습문제들을 다 풀고, 강의를 듣고 있는데 2단계도 해볼만 하겠다는 생각이 드네요! (착각일수도...ㅋㅅㅋ) 얼른 자료구조 / 알고리즘 배우고 2단계로 넘어가보려구요.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(s) { let answer = [s[0]]; for (let i = 1; i < s.lengt..

스택은 무엇일까? 스택은 `Last In First Out` 이라는 개념을 가진 선형 자료구조다. 말 그대로 '나중에 들어간 요소가 먼저 나온다' 혹은 '먼저 들어간 요소가 나중에 나온다' 라는 개념이다. 상자에서 나중에 넣은 물건을 먼저 꺼내듯이 말이다. 요소를 넣는 것을 push 라 부르고, 요소를 빼는 것은 pop 이라고 부른다. 그리고 Stack의 맨 위에 있는 요소를 TOP 이라고 부른다. 마치 프링글스 통과 비슷한 구조로, 맨 위에 있는 과자만 꺼낼 수 있고, 아래에 깔린 과자는 꺼낼 수 없다. 스택의 동작 원리 스택의 동작 원리는 굉장히 단순하다. 우리가 할 수 있는 행동은 요소를 넣는 push와 빼는 pop만이 존재한다. 가장 맨 위에 있는 TOP 요소만 컨트롤 하기에 구현도 어렵지 않다...